<표 1> 인터넷이 기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구 분 |
기업활동에 대한 영향 |
시간의 단축 |
지역적 제약극복 |
관계의 재구축 |
기업 활동의 가치 |
효율성
(Efficiency) |
업무 프로세스의
가속화 |
규모의 경제
달성 |
중간자의 제거 |
효과성
(Effectiveness) |
정보유동시간의
단축 |
글로벌 통제력의
확보 |
희귀정보의
복제·활용 |
혁신
(Innovation) |
대고객 서비스의
혁신 |
신시장의 개척 |
고객과의 유대감
구축 |
1. 시간/효율성 : 업무 프로세스의 가속화
업무 프로세서에 정보기술을 적절히 활용하면 시간/비용 측면에서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많은 기업들이 EDI(Electronic Data Exchange) 시스템 구축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는데 인터넷은 바로 이러한 시간적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2. 시간/효과성 : 정보유동시간의 단축
전 세계를 포괄하고 있는 인터넷은 다양한 자료원으로부터의 자료수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조직내 복수의 의사결정자들에 대한 자료의 제공이라든가 그들 상호간의 자료교환 등이 거의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정보유동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3. 시간/혁신 : 대고객 서비스의 혁신
기업은 정보통신시스템을 활용하여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한 반응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대고객 서비스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최신 제품정보를 제공하고 고객이 안고 있는 기술적 문제나 요구사항을 신속히 처리한다. 특히 소프트웨어 전문업체나 컴퓨터 및 주변장치 제조업체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서 전 세계 고객에게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등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4. 지역/효율성 : 규모의 경제 달성
지역적으로 널리 분산된 기업의 경우라 할지라도 통신시스템을 잘 활용하게 되면 중앙 집중적 기업이 누릴 수 있는 규모의 경제를 어느 정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제품창고들간 효율적 통신망이 갖춰져 있다면 총 재고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인터넷은 그와 같은 통신망 구축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5. 지역/효과성 : 글로벌 통제력의 확보
기업을 성장시키기 위해 경영자는 항상 목표에 대한 결과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관리를 해야 하는데 여러 국가(또는 지역)에 사업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의 경우 적시에 이와 같은 통제활동을 수행하기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통신망의 구축은 조직에 대한 통제력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수단이다.
6. 지역/혁신 : 신시장 개척
최근 인터넷은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하나의 광고매체로서 또는 주문접수 창구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고객에 대한 기술적 지원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가상시장(Virtual Market 또는 Cyber market)을 형성하고 있다.
7. 관계/효율성 : 중간자의 제거
정보통신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조직의 계층 수가 축소되고, 수평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조직내의 의사결정단계가 축소되고 한 관리자가 통제할 수 있는 범위(span of control)가 확대되어 업무처리가 신속 간소화되고, 고객의 입장에서 보다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된다.
8. 관계/효과성 : 희귀 정보의 복제·활용
인터넷 등 통신망을 통해 기업내 모든 부문에서 얻어진 가치 있는 정보들을 수집하고, 이를 서로 다른 부문에서 반복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 부문간의 협조관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9. 관계/혁신 : 고객과의 유대감 구축
기업의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고객과의 유대감을 보다 공고히 하기 위하여 많은 기업들이 단순히 고객과의 연결이라는 차원을 벗어나 고객의 제품주문이나 서비스 요구 경력 등을 추적·분석하여 고객별 성향을 파악하고, 각 고객에 맞게 가공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